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개발 회고
- 프론트엔드
- Next.js
- 세그먼트 트리
- styled-components
- 코딩일기
- 자바스크립트
- react-three/fiber
- JavaScript
- 해시를 사용한 집합과 맵
- 시뮬레이션
- 모던 자바스크립트 튜토리얼
- three.js
- 백준
- 오블완
- 기본 문법
- 수학
- HTML5
- js
- 토이 프로젝트
- State
- 티스토리챌린지
- REACT
- 브루트포스
- 자료 구조
- 구현
- 회고
- 엔트리포인트
- 자바
- poiemaweb
- Today
- Total
코딩하는 고릴라
24년 10월 회고 본문
🦍 ISSUES
-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
- 정규직 전환 평가 통과
- 알고리즘 학습
- CS 학습
1.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
10월 20일에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에 응했다. 정규직 전환 평가를 위한 프로젝트 발표 일자도 얼마 남지 않았기에 며칠간 몰아서 학습했고, 따라서 책을 구입해 읽어볼 여유는 없었기에 블로그를 뒤져 시험 준비에 유용한 정보들을 찾아 학습했다.
[정보처리기사 실기] 단원별 정리 & 예상 문제 & 기출 문제
정보처리기사 단원별 정리 & 예상 문제 & 기출 문제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을 준비하면서 블로그에 올렸었던 글들을 한 페이지에 정리해본다. 개념 정리 2020년 NCS 개편 후의 내용들수험서, 인터
starrykss.tistory.com
시험 대비를 위한 정보들이 위 블로그에 아주 아주 아주 잘 정리되어 있다. 나는 그중에서도 특히 "프로그래밍 기출문제 정리"에서 약점인 부분(C에서의 포인터, Java에서의 다형성)을 위주로 풀어보며 프로그래밍 문제에서의 약점을 보완했으며, "단답형/약술형 문제 모음"을 여러 번 회독하며 암기식으로 공부했다.
그 과정에서 포인터와 같은 부분은 "흥달쌤 유튜브"에서 포인터 부분만 시청하며 개념을 이해했다.
아직 결과가 나오려면 멀었지만, 가답안 채점을 했을 때는 아마 65점으로 나왔던 것 같다. 확실히 프로그래밍 문제를 중점적으로 대비하는 방식이 도움이 될 것 같았고, 단답형/약술형 문제 모음에서 익힌 개념들도 일부 출제되어 도움받을 수 있었다.
이번 시험으로 한 번에 취득할 수 있었으면 좋겠고, 앞으로 시험 준비는 미리미리 해야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2. 정규직 전환 평가 통과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는 신입 개발자를 대상으로 3개월 간의 교육을 실시하며, 그 과정에서의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정규직 전환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동기분들이 워낙에 다들 실력자여서 따라가는데 급급하기도 했고 여러모로 부족함을 많이 느껴 심적으로도 힘들었으나 결과적으로는 평가에 통과해 정규직으로 전환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가장 많이 느낀 점은 역시 "왜"에 대해 끊임없이 생각할 줄 알아야 한다는 부분이었다. 이게 이런 식으로 동작하는데 왜 그렇게 동작하는지, 그럼 이걸 왜 사용하며 비슷한 방법 중 왜 이 방법을 채택해야만 하는지 등등,,
평가를 통과하고자 하는 1차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었으나 그 과정에서 개발자로서, 직장인으로서 앞으로 어떤 마음가짐을 가지고 개발에 임해야 할지 많은 생각이 드는 과정이었다.
3. 알고리즘 학습
알고리즘을 학습하며 느꼈던 점은 취업을 위한 알고리즘, 그렇지 않은 알고리즘이 분명히 따로 있다는 생각이었다. 그래서 취업을 준비하던 기간에는 주로 나오는 알고리즘만을 학습했으나, 취업 이후에는 정말 관심 가는 알고리즘 학습에 시간을 할애할 수 있는 부분이 마음에 들었다.
10월에는 최단경로, 네트워크 플로우, 이분 매칭에 대해 학습해 볼 수 있었다. 최단경로는 모르겠으나 네트워크 플로우, 이분 매칭 알고리즘은 취업을 준비하며 단 한 번도 알아볼 생각이 없었던 알고리즘이었다.
학습은 주로 "알고리즘 문제 해결 전략" 도서를 읽어나가며 진행했다. 어렵다 어렵다 정평이 나있던 책으로 들었는데 확실히 쉽지는 않았던 것 같다. 하지만 그만큼 어려운 내용을 깔끔하게 정리해 뒀다고 생각해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부분 까지는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다. 물론 조금 더 수학적인 부분에서의 이해는 아직도 많이 부족한 것 같다.
취업 이후 정말로 공부하고 싶었던 부분들을 공부할 수 있는 게 참 재밌었다. 앞으로도 직장 생활하면서 알고리즘은 꾸준히 공부해나가고 싶다.
4. CS 학습
- 모두의 네트워크
-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운영체제
위 책들을 읽어가며 학습했다. 모두 CS의 기본이 되는 네트워크, 컴퓨터 구조, 운영체제에 대한 내용들인데, 그간 취업을 준비하며 저런 부분에 대해서는 전혀 학습해놓지 못했기 때문에 위 책들을 읽으며 공부했다. 나처럼 배경지식이 아무것도 없는 사람이 대략적인 큰 그림을 그려보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책인 것 같다. 다 읽고 다음에는 조금 더 세세한 내용을 담은 책들을 읽을 예정이다.
평소 개발 관련 학습은 인터넷 서칭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했는데, 잘 정리된 책을 쭉 읽어나가며 공부하는 편도 나쁘지 않다는 생각을 했다. 앞으로도 꾸준히 독서하면서 지식을 쌓아야겠다.
🚀 다음 달 목표
📚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완독
📚 [모던 리액트 Deep Dive] 많이 읽기
💻 사이드 프로젝트 시동걸기 - 페이지 라우팅 등 어느 정도 골격 잡기
📕 그리디 알고리즘 낮은 단계부터 정복하기
'일상 > Dai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년 12월 회고 (3) | 2024.12.31 |
---|---|
24년 11월 회고 (4) | 2024.12.03 |
SSAFY 10기. 1년간의 과정 회고하기 (1) | 2024.06.28 |
240113. 오늘 한 일 (1) | 2024.01.14 |
231127. SSAFY 10기, 1학기 과정을 마치며 (6) | 2023.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