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수학
- 코딩일기
- poiemaweb
- 백준
- 엔트리포인트
- 개발 회고
- 해시를 사용한 집합과 맵
- 오블완
- 기본 문법
- JavaScript
- 세그먼트 트리
- styled-components
- REACT
- 시뮬레이션
- 자료 구조
- 자바
- 브루트포스
- 프론트엔드
- 티스토리챌린지
- 토이 프로젝트
- three.js
- 회고
- js
- 구현
- 자바스크립트
- HTML5
- Next.js
- 모던 자바스크립트 튜토리얼
- react-three/fiber
- State
- Today
- Total
목록개발 회고 (2)
코딩하는 고릴라
회사 이야기- 사내 프레임워크가 UI를 어떤식으로 그리는지 교육받을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원하는 값들이 어느 포인트에서 꽂히는지 훨씬 쉽게 디버깅할 수 있게 됐다.- 위 교육 이전 1개월 반 가량은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며 시간을 보냈었는데 그 동안에도 사소한 부분이긴 하나 필요한 Cypress 커맨드를 작성하고, 자동완성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끔 하며 개발 효율성을 높여보고자 노력했다. 테스트 코드 작성 시 반복되는 부분을 함수로 빼 공통화시키기 보다, 코드 반복을 허용하고 순차적인 흐름을 표현하는 코드를 작성했을 때, 보다 이해가 쉬움을 느꼈다. 이를 보며 개발은 역시 주어진 상황에서 적용시킬 수 있는 최적의 방법은 단 한가지가 아님을 깨달았다. 근거만 충분하다면, 그 어떤 방법도 최적이 될 수 있..
🦍 ISSUES- 테스트 코드1. 테스트 코드 프론트엔드 팀에 배정받았고, 처음으로 시작한 일은 프론트엔드 테스트 환경 구축 과정에서의 사전 작업과 같은 일들을 진행했다. 11월 한 달간은 대체로 데이터 셋을 만들고, 이를 활용해서 테스트 코드 작성하고, 사내 프레임워크가 어떻게 UI를 그리고 있는지 등에 대한 방식을 알아가는 과정이었다. 그 과정에서 React-testing-library, Cypress 등 테스트와 관련된 툴들을 활용해 볼 수 있었고, 회사에서는 이와 같은 기술들을 단순히 가져다 쓰는 게 아니라 어떻게 하면 사내 시스템에 맞춰 잘 정착시킬 수 있는지 고민하는 과정들을 엿볼 수 있었다. 11월은 크게 다룰만한 일이 없던 것 같다. 뭐라도 좀 써보고 싶은데 워낙 자잘자잘한 일들을 맡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