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State
- styled-components
- 브루트포스
- js
- 토이 프로젝트
- poiemaweb
- 시뮬레이션
- 세그먼트 트리
- 모던 자바스크립트 튜토리얼
- 수학
- 코딩일기
- 자료 구조
- REACT
- JavaScript
- 해시를 사용한 집합과 맵
- 개발 회고
- 기본 문법
- 구현
- 프론트엔드
- 자바스크립트
- react-three/fiber
- 회고
- 오블완
- 엔트리포인트
- Next.js
- three.js
- HTML5
- 티스토리챌린지
- 백준
- 자바
Archives
- Today
- Total
코딩하는 고릴라
[webpack] process is not defined 본문
반응형
🍕 에러 발생 시점
- react를 사용한 프로젝트 진행 중, 환경변수를 process.env로 접근하려 하자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 기존 프로젝트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했을 때 문제가 없었으나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 기존 프로젝트는 React 프로젝트 생성에 CRA를 사용했고 지금의 프로젝트는 직접 webpack을 설정했는데 이 차이에서 해당 에러의 원인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 서치해봤다.
🍔 문제 해결
dotenv 라이브러리 설치 후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해 해결했다.
// webpack.common.js
const webpack = require('webpack');
const dotenv = require('dotenv');
dotenv.config();
module.exports = () => {
// ...
plugins: [
new webpack.DefinePlugin({
'process.env': JSON.stringify(process.env),
}),
],
};
};
- dotenv를 통해 JSON.stringify의 매개변수로 들어간 process.env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 react 프로젝트에서도 해당 process.env 변수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DefinePlugin을 통해 정의해준다.
🦅 REFERENCE
[React] Webpack으로 구축한 React 프로젝트에서 환경 변수(.env) 사용하기
TL;DR Webpack을 통해 직접 구성한 리액트 프로젝트 .env 파일에 환경 변수를 선언할 때 REACT_APP_으로 시작하지 않아도 됨 dotenv 패키지: DefinePlugin을 통해 수동으로 전역 변수 정의 dotenv-webpack 패키지:
db2dev.tistory.com
반응형
'트러블 슈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Cypress] 커스텀 커맨드 vscode 자동완성 적용시키기 (0) | 2024.12.17 |
---|---|
[vscode] exited with code=3221225477 (0) | 2024.11.23 |
[Jest] A React Element from an older version of React was rendered. (0) | 2024.06.19 |
[react-three/fiber] 오브젝트 내부 렌더링 (2) | 2024.01.25 |
[Eclipse IDE] Editor does not contain a main type (0) | 2024.01.13 |